부경(扶熲) 김기선
2006. 12. 7. 17:44
|
 |
|
 |
|
 |
 |
디자인경영에 관한 가장 최초의 정의 |
|
"디자인경영이란 디자인 문제를 정의하고, 가장 적합한 디자이너를 찾아내어 주어진 시간과 예산의 범위 내에서 그것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 마이클 파르(Michael Farr) |
|
|
 |
"디자인경영은 디자인이 장기적인 기업의 목표의 달성에 유용한 수단임을 널리 인식시키고, 기업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모든 활동에 디자인이 올바르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해주는 공식적인 업무 프로그램이다. " - 곤노 노보리 (紺野登 / コンノノボリ) |
|
|
 |
"디자인경영은 기업의 장기적인 목표에 대한 디자인의 관련성을 전달하고, 기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기업 활동의 모든 단계에서 디자인 자원을 통합함으로써 디자인을 하나의 공식적인 기업활동으로서 실행하는 행위이다." - 로버트 블레이치 (Robert Blaich) |
|
|
 |
1998년「디자인 매니지먼트 저널(Design Management Journal)」의 편집인인 토마스 월튼(Thomas Walton) |
|
그는 "디자인 경영의 본질: 분야의 현황에 대한 논평(A Profile of Management: Comments on the State of the Profession)" 에서 디자인경영에 대한 다양한 정의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
|
|
|
ㆍ디자인은 비전(vision)이라고 생각하고 싶다… 디자인을 전략적으로 경영하고…디자인 경영은 꿈을 주는 리더십(visionary leadership)이라고 생각한다. |
 |
ㆍ대체로 조직의 아이덴티티는 공상과 현실 사이의 균형을 이루는 기능을 말한다. 디자인 경영은 특히 그와 같은 균형을 이루는데 잘 어울린다. |
 |
ㆍ자산 경영(asset management)의 한계를 넘어서서 디자인 경영은 태도경영(attitude management)이다. 그것은 기업의 현상뿐만 아니라 심성을 동시에 표현한다.… 좋은 디자인 경영은 조직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 속성을 전달시켜준다. |
 |
ㆍ디자인 경영은 제품, 더 나아가서는 제조 회사에 대한 최종 사용자의 인식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주는 핵심적인 전략적 혁신자이다. |
 |
ㆍ디자인 경영은 기업의 전략적 가치 기반(value proposition)을 잘 정의하는데서부터 시작된다. 그리고 비전, 사명, 목표, 전략, 그리고 행동 계획에 관한 명확한 규정으로 이어진다. | | |
|
|
 |
 |
역사를 통해서 본 경영과 디자인의 개념 |
|
- 의식주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경영의 개념 도입 - 경영을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디자인이 활용됨 |
|
|
 |
문명시대별 Design 활용의 예 |
|
- 원시시대 움집, 생존용 도구, 벽화와 조각 - 기원전 3~4천년경 메소포타미아 문명 - 그리스(Greece)문명 - 12세기이후 유럽과 아시아의 무역 - 15세기 구텐베르크의 인쇄기 발명 - 영국 산업혁명 |
|
|
 |
인류의 역사는 생존을 위해서 경영과 디자인을 통합된 수단으로 인식하였고, 사회의 발달과 변화에 따른 필요에 의해서 상호 보완적으로 발전되어 왔음 | |
|
 |
|
 |
 |
|
 |
 |
|
 |
 |
디자인(design)의 개념이 성립하게 된 것은 18세기 말 이후 일어난 생산과 소비의 변화에 따른 것으로 산업혁명 이후 산업 환경을 지배해왔던 대량 생산 체제가 유통과 정보의 발달로 인한 사회의 변혁으로 한계에 이르면서 디자인(design)에 대한 새로운 의미 부여의 필요성이 제기됨 |
|
|
 |
생활의 안정화와 평준화로 소비자들은 생활의 질 중시 |
|
|
 |
기업의 경영과 관련한 디자인(design)의 의미 |
|
- 디자인은 사회 현상과 가치를 반영한다. - 디자인은 국가의 경제 성장에 공헌한다. - 디자인은 소비자의 욕구 변화에 따른 새로운 생산 기회를 제공한다. - 디자인은 소비자의 특성을 제품의 개발에 반영함으로써 차별화를 유도한다. - 디자인은 소비자의 심리를 자극하여 구매 욕구를 강하게 한다. | |
|
 |
디자인전략의 목적 |
디자인관리 수단 |
기업목적의 시각화/전달 |
ㆍ기업 정체성 프로그램 ㆍ품질을 위한 디자인 |
해당업체의 경젱우위에 적합한 상품/서비스 생산 |
ㆍ명확한 목적에 중점을 두는 디자인 정책 ㆍ디자인의 통합 |
일관성 있는 개발 및 디자인정책의 적용 보장 |
ㆍ디자인 기준 ㆍ디자인 감독 ㆍ능률적인 디자인 지도부 |
변화하는 외부 환경에 따라 디자인 자원의 주안점 조정 |
ㆍ혁신의 문화 ㆍ외부 지향형의 디자인 조직 | | |
|
 |
 |
|
 |
|
 |
" 정보가 공유되고 글로벌화된 21C의 비즈니스 환경 속에서는 인간의 논리적인 사고와 감성을 조화롭게 활용해야만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좌뇌와 우뇌가 동시에 기능하는 디자인경영이 21C를 위한 최선의 솔루션(solution)이다." - 김호곤 | |
|
'디자인이 경쟁력이다.', '디자인은 차세대 성장 엔진이다.', '디자인은 이제 기업경영의 핵심이다.'...... 이제 디자인이 사업의 성공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은 물론, 나아가 전 세계적으로 고부가가치의 디자인 육성은 국가 정책의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하버드 경영대학원의 존 맥아더(John MacArthur, 1989) 학장은 "범세계적으로 경쟁이 심화되면서, 경쟁 전략의 새로운 차원에 대한 관심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디자인과 경영이 가장 중요시되고 있다."고 하였을 만큼 이제 디자인경영에 대한 세계적 수준은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는 단계가 아니라 그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적으로 활용하고 발전시켜야 나가야 하는 단계에 진입하고 있다.
제품의 품질, 가격, 기술만으로 상품을 구매하는 시대는 이미 지나갔으며, 팔리는 디자인, 고객이 찾는 디자인, 갖고 싶은 디자인, 즉 경쟁력을 갖춘 디자인을 보다 효율적으로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경영 활동 처음과 끝, 전 과정에 걸쳐 디자인에 대한 고려와 관심, 의사소통 및 교류와 상호 협조가 체계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에 기업경영에 있어 디자인경영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