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상 각부 명칭
불상 각부 명칭
<육계>
보통 부처의 머리 위에 혹과 같이 살(肉)이 올라온 것이나 머리뼈가 튀어 나온 것으로 지혜를 상징한다. 불정(佛頂), 무견정상(無見頂相), 정계라고도 한다.
원래는 인도의 성인(聖人)들이 긴 머리칼을 위로 올려 묶던 형태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나발(螺髮)은 오른쪽으로 말린 꼬불꼬불한 나선형 모양의 머리카락이다. 원래 부처의 32길상에는 머리카락에 관한 설명이 없지만 일부 경전에 나발이 오른쪽으로 말려 있다고 되어 있다.
불상의 머리카락은 간다라 불상에서는 굵은 웨이브형인데 비해 마투라 초기 불상에서는 소라 모양의 머리카락으로 표현되었으나 시대가 내려가면서 점차 오른쪽으로 말린 꼬불꼬불한 나발 형식으로 변하게 되었다.
소발(素髮)은 민머리로 별다른 장식이 없는 머리 형태를 말한다. 대개 석조불 계통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두발 형식이다.
<백호>
부처의 양 눈썹 사이에 난 희고 부드러운 털을 백호(白毫)라 한다. 이 털은 오른쪽으로 말리면서 나와 있다. 대승불교에서는 광명을 비춘다고 하여 부처뿐만 아니라 여러 보살들도 모두 갖추도록 규정하였다. 따라서 초기 불상에서부터 작은 원형을 도드라지게 새기거나 수정 같은 보석을 끼워 넣기도 했으며 드물게 채색으로 직접 그리기도 하였다.
<삼도>
삼도(三道)란 불상 목 주위에 표현된 3개의 주름으로, 생사(生死)을 윤회하는 인과(因果)를 나타내며 혹도(惑道) 또는 번뇌도(煩惱道), 업도(業道), 고도(苦道)를 의미한다. 원만하고 광대한 불신(佛身)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형식으로 보통 불, 보살상에서 볼 수 있다.
<보관>
보석으로 장식된 관을 뜻하지만 특히 불상의 머리 위에 얹는 관을 의미한다. 여래 가운데 보관(寶冠)을 쓰는 것은 대일여래, 보관 아미타불 등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지만 보살, 명왕, 천부 등에는 여러 가지 형식의 보관이 있다.
보관은 고대 인도 귀인(貴人)들의 머리 장식에서 유래된 것으로 불상을 장엄하는 데 목적이 있을 뿐 아니라 불, 보살의 상징으로도 사용된다.
즉, 대일여래는 5불을 상징하는 다섯 개의 화불이 표현된 오지보관(五智寶冠)을 쓰고 있으며 관음보살은 보관에 아미타화불(阿彌陀化佛), 대세지보살은 수병(水甁), 미륵보살은 탑(塔) 등이 새겨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화불>
변화한 부처를 말한다. 응신불(應身佛) 또는 변화불(變化佛)이라고도 한다. 불, 보살이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서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나타나는 것으로 작은 여래형으로 표현된다.
보통 관음보살과 대일여래는 보관에 화불(化佛)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광배에 작은 화불을 배치하는 경우도 있다.
<영락>
진주, 옥, 금속 등을 끈으로 꿰어서 만든 것으로 보살의 목이나 가슴 등에 늘어뜨리는 장신구의 하나. 원래 인도 귀족들이 몸을 장식하는 풍습에서 유래되었으나 시대가 내려가면서 불상 특히 보살상의 손과 팔, 다리를 장엄하는 데에 사용되었다. 밀교상에서는 뱀, 해골 등을 영락(瓔珞)으로 한 예도 있다.
보살영락본업경 권 상에 의하면 보살의 수행에 따라 금, 은, 동, 유리, 수정 등의 영락을 얻을 수 있다고 하며 보살영락경 제 5에는 이러한 영락들은 각기 다른 기능과 위력을 지니면서 중생을 위해 널리 쓰여진다고 설명하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중국 북위, 북제 시대의 영향을 받아 삼국 시대에는 심엽형(心葉形)이나 원형, X자형 영락 장식이 크게 유행하였으나 보살상의 양식적 변화와 함께 점차 형식적인 상징물로 표현되었다.
<불상의 의복>
부처나 승려가 입는 의복은 가사(袈裟) 또는 법의(法衣)라고도 한다. 불상의 경우는 세 종류의 옷을 걸치는데 가장 겉에 대의(大衣)를 입고 그 안에 승기지(僧祇支)와 치마인 군의(裙衣)를 입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반면에 보살이나 천부상은 몸에 장신구을 지니고 천의(天衣)를 걸치는 것이 특징이다.
① 대의(大衣)
불상 중에서 여래상이 제일 겉에 입는 옷이다. 승가리(僧伽梨)로 음역되며 중의(重衣), 중복의(重復衣), 잡쇄의(雜碎衣)라고도 한다. 대의를 입는 방식에는 보통 통견과 우견편단의 두 가지가 있다.
통견(通肩)은 양쪽 어깨를 모두 가리는 방식이다. 불상에서는 대의를 이 방식으로 걸치고 옷 끝을 끌어 당겨서 왼손으로 잡는 것이 일반적이다.
우견편단(右肩偏袒)은 오른쪽 어깨를 드러낸 채 법의를 왼쪽 어깨에서 겨드랑이로 걸치는 방식이다. 불상의 경우는 대개 설법하는 부처가 입는 옷방식이지만 예외도 있다.
② 승기지(僧祇支)
불상의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겨드랑이로 옷을 걸쳤을 때 드러난 가슴을 덮은 속옷으로 승각기(僧脚崎), 엄액의(掩腋衣), 복견의(復肩衣)라고도 부른다. 대개 장방형의 천을 왼쪽 어깨에 걸쳐 양 겨드랑이를 덮으면서 허리 아래까지 내려오게 한 것으로 군의와 함께 대의 안에 입는 것이다.
③ 군의(裙衣)
중국 고대 의복의 일종으로 불교 전래 이후 불, 보살이 걸쳤던 옷으로 상의(裳衣)라고도 한다. 입는 방법은 종파에 따라서 다르나 보통 허리에서부터 아래를 덮은 긴치마 모양의 옷을 말한다. 불상 표현에서는 대의의 아래와 배의 윗부분에 부분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④ 천의(天衣)
보살이나 천인(天人)들이 입는 얇은 옷을 말하며 무봉의(無縫衣)라고도 한다. 무게가 없는 매우 가벼운 옷이란 의미로, 형태에서 붙여진 이름이 아니다. 보통 숄 같은 것으로 나형(裸形)인 상반신의 어깨에서부터 걸쳐서 몸에 두르는 것이다.

<육계>
보통 부처의 머리 위에 혹과 같이 살(肉)이 올라온 것이나 머리뼈가 튀어 나온 것으로 지혜를 상징한다. 불정(佛頂), 무견정상(無見頂相), 정계라고도 한다.
원래는 인도의 성인(聖人)들이 긴 머리칼을 위로 올려 묶던 형태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나발(螺髮)은 오른쪽으로 말린 꼬불꼬불한 나선형 모양의 머리카락이다. 원래 부처의 32길상에는 머리카락에 관한 설명이 없지만 일부 경전에 나발이 오른쪽으로 말려 있다고 되어 있다.
불상의 머리카락은 간다라 불상에서는 굵은 웨이브형인데 비해 마투라 초기 불상에서는 소라 모양의 머리카락으로 표현되었으나 시대가 내려가면서 점차 오른쪽으로 말린 꼬불꼬불한 나발 형식으로 변하게 되었다.
소발(素髮)은 민머리로 별다른 장식이 없는 머리 형태를 말한다. 대개 석조불 계통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두발 형식이다.
<백호>
부처의 양 눈썹 사이에 난 희고 부드러운 털을 백호(白毫)라 한다. 이 털은 오른쪽으로 말리면서 나와 있다. 대승불교에서는 광명을 비춘다고 하여 부처뿐만 아니라 여러 보살들도 모두 갖추도록 규정하였다. 따라서 초기 불상에서부터 작은 원형을 도드라지게 새기거나 수정 같은 보석을 끼워 넣기도 했으며 드물게 채색으로 직접 그리기도 하였다.
<삼도>
삼도(三道)란 불상 목 주위에 표현된 3개의 주름으로, 생사(生死)을 윤회하는 인과(因果)를 나타내며 혹도(惑道) 또는 번뇌도(煩惱道), 업도(業道), 고도(苦道)를 의미한다. 원만하고 광대한 불신(佛身)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형식으로 보통 불, 보살상에서 볼 수 있다.
<보관>
보석으로 장식된 관을 뜻하지만 특히 불상의 머리 위에 얹는 관을 의미한다. 여래 가운데 보관(寶冠)을 쓰는 것은 대일여래, 보관 아미타불 등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지만 보살, 명왕, 천부 등에는 여러 가지 형식의 보관이 있다.
보관은 고대 인도 귀인(貴人)들의 머리 장식에서 유래된 것으로 불상을 장엄하는 데 목적이 있을 뿐 아니라 불, 보살의 상징으로도 사용된다.
즉, 대일여래는 5불을 상징하는 다섯 개의 화불이 표현된 오지보관(五智寶冠)을 쓰고 있으며 관음보살은 보관에 아미타화불(阿彌陀化佛), 대세지보살은 수병(水甁), 미륵보살은 탑(塔) 등이 새겨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화불>
변화한 부처를 말한다. 응신불(應身佛) 또는 변화불(變化佛)이라고도 한다. 불, 보살이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서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나타나는 것으로 작은 여래형으로 표현된다.
보통 관음보살과 대일여래는 보관에 화불(化佛)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광배에 작은 화불을 배치하는 경우도 있다.
<영락>
진주, 옥, 금속 등을 끈으로 꿰어서 만든 것으로 보살의 목이나 가슴 등에 늘어뜨리는 장신구의 하나. 원래 인도 귀족들이 몸을 장식하는 풍습에서 유래되었으나 시대가 내려가면서 불상 특히 보살상의 손과 팔, 다리를 장엄하는 데에 사용되었다. 밀교상에서는 뱀, 해골 등을 영락(瓔珞)으로 한 예도 있다.
보살영락본업경 권 상에 의하면 보살의 수행에 따라 금, 은, 동, 유리, 수정 등의 영락을 얻을 수 있다고 하며 보살영락경 제 5에는 이러한 영락들은 각기 다른 기능과 위력을 지니면서 중생을 위해 널리 쓰여진다고 설명하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중국 북위, 북제 시대의 영향을 받아 삼국 시대에는 심엽형(心葉形)이나 원형, X자형 영락 장식이 크게 유행하였으나 보살상의 양식적 변화와 함께 점차 형식적인 상징물로 표현되었다.
<불상의 의복>
부처나 승려가 입는 의복은 가사(袈裟) 또는 법의(法衣)라고도 한다. 불상의 경우는 세 종류의 옷을 걸치는데 가장 겉에 대의(大衣)를 입고 그 안에 승기지(僧祇支)와 치마인 군의(裙衣)를 입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반면에 보살이나 천부상은 몸에 장신구을 지니고 천의(天衣)를 걸치는 것이 특징이다.
① 대의(大衣)
불상 중에서 여래상이 제일 겉에 입는 옷이다. 승가리(僧伽梨)로 음역되며 중의(重衣), 중복의(重復衣), 잡쇄의(雜碎衣)라고도 한다. 대의를 입는 방식에는 보통 통견과 우견편단의 두 가지가 있다.
통견(通肩)은 양쪽 어깨를 모두 가리는 방식이다. 불상에서는 대의를 이 방식으로 걸치고 옷 끝을 끌어 당겨서 왼손으로 잡는 것이 일반적이다.
우견편단(右肩偏袒)은 오른쪽 어깨를 드러낸 채 법의를 왼쪽 어깨에서 겨드랑이로 걸치는 방식이다. 불상의 경우는 대개 설법하는 부처가 입는 옷방식이지만 예외도 있다.
② 승기지(僧祇支)
불상의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겨드랑이로 옷을 걸쳤을 때 드러난 가슴을 덮은 속옷으로 승각기(僧脚崎), 엄액의(掩腋衣), 복견의(復肩衣)라고도 부른다. 대개 장방형의 천을 왼쪽 어깨에 걸쳐 양 겨드랑이를 덮으면서 허리 아래까지 내려오게 한 것으로 군의와 함께 대의 안에 입는 것이다.
③ 군의(裙衣)
중국 고대 의복의 일종으로 불교 전래 이후 불, 보살이 걸쳤던 옷으로 상의(裳衣)라고도 한다. 입는 방법은 종파에 따라서 다르나 보통 허리에서부터 아래를 덮은 긴치마 모양의 옷을 말한다. 불상 표현에서는 대의의 아래와 배의 윗부분에 부분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④ 천의(天衣)
보살이나 천인(天人)들이 입는 얇은 옷을 말하며 무봉의(無縫衣)라고도 한다. 무게가 없는 매우 가벼운 옷이란 의미로, 형태에서 붙여진 이름이 아니다. 보통 숄 같은 것으로 나형(裸形)인 상반신의 어깨에서부터 걸쳐서 몸에 두르는 것이다.
출처 : 불상 각부 명칭
글쓴이 : 뽀얀 원글보기
메모 :
'스토리1' 카테고리의 다른 글
[韓.中.日의 말과 문화 차이] (0) | 2005.12.01 |
---|---|
MOTOR HOME(Newell com) (0) | 2005.11.08 |
소식좀 전해주오 (0) | 2005.10.25 |
[스크랩] 키스 모음 (0) | 2005.10.23 |
[스크랩] 사격게임 (0) | 2005.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