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우도 (尋牛圖) ①심우(尋牛)는 소를 찾는 동자가 망과 고삐를 들고 산 속을 헤매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이것은 처음 수행을 하려고 발심(發心)한 수행자가 아직은 선(禪)이 무엇인지 참마음이 무엇인지를 알지 못하지만 그것을 찾겠다는 열의로 공부에 임하는 모습을 상징하고 있다. 바로 자기를 찾는 결심의 단계를 말한다.
②견적(見跡)은 '소의 발자국을 발견한 것'을 묘사한 것으로서, 보면 본성의 자취를 어렴풋이 느끼게 된다는 것을
③견우(見牛)는 동자가 멀리 있는 소를 발견한 것을 묘사한 그림이다.
④득우(得牛)는 동자가 소를 붙잡아서 일순간의 탐욕을 다스릴 길이 없다.
⑤목우(牧友)는 거친 소를 길들이는 모습을 묘사한다. 자신의 호를 목우자(牧牛子)라 하였다.
⑥기우귀가(騎牛歸家)는 동자가 구멍 없는 피리를 불며
⑦망우존인(忘牛存人)은 집에 돌아와서는 그동안 애쓰며 찾던 소는 잊어버리고 자기만 남아 있다는 내용이다. 본래의 자기마음을 찾아 이제 나와 하나가 되었으니 굳이 본성에 집착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⑧인우구망(人牛俱忘)은 소를 잊은 다음 자기 자신도 잊어버리는 상태를 묘사한 것으로서 텅 빈 원상(圓象)만을 그리게 된다. 객관적인 소를 잊었으면 이번에는 주관적인 자신또한 성립되지 않는다는 원리를 깨달아야 하는 것이다. 이제 본성에도 집착하지 않고 나를 모두 비웠으니 자타가 다르지 않고 내외가 다르지 않다. 전부가 오직 공(空)이다.
⑨반본환원(返本還源)은 이제 주객이 텅 빈 원상 속에 자신의 모습이 있는 그대로 비침을 묘사한다. '산은 산이오. 물은 물이라.' 만물을 있는 그대로바라볼 수 있는 참된 지혜를 상징한 것이다. 있는 그대로의 세계를 모두 하나같이 사랑한다.
⑩입전수수는 지팡이에 큰 포대를 메고 사람들이 많은 곳으로 가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이때 큰 포대는 중생들에게 베풀어 줄 복과 덕을 담은 포대로서, 불교의 궁극적인 뜻이 중생의 제도에 있음을 상징한 것이다. 표주박 차고 거리에 나가 지팡이를 짚고 집집마다 다니며 스스로 부처가 되게 하고 모든 중생을 제도하여 불국(佛國)을 건설한다는 내용이다.
심우도는 소를 찾는 과정을 단순하게 그리고 있는 것 같지만 그 이면에는 인간의 본성을 찾아 깨달음의 세계에 이르는 깊고 심오한 선종의 사상을 담고 있습니다.
그 열 단계의 과정을 다시 정리해보면 '심우'는 불도의 깨달음을 얻으려는 마음을 일으키는 발보리심(發菩提心)을 나타내고, '견적'에서 '기우귀가'까지는 수행의 과정을 표현한 것입니다. 그리고 '반본환원'은 열반의 경지에 진입하는 모습을, '입전수수'는 깨달음을 얻은 뒤에중생을 제도하는 단계를 나타냅니다.
자신이 불자라고 하는 대부분의 신도들도 절에 가서는대웅전 외벽에 그려진 심우도를 아무 생각없이 보고는 심우도가 무슨 뜻으로 그려졌는가 알지 못한 채그냥 지나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서 올려봅니다..
소를 찾는 나그네님들, 성불 하소서~~!!
<옮겨온 글, 그림> |
'정신수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년의 삶 (0) | 2006.12.11 |
---|---|
[국악명상] 그대의 손을 놓고 돌아설 때 (0) | 2006.08.27 |
[스크랩] 성공에 관한 잘못된그림 (0) | 2006.08.14 |
노자의 인간 관계 5계명 (0) | 2006.08.11 |
남을 받아들이고 지혜를 받아들이는, 내 속의 빈 공간 (0) | 2006.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