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지식대통합의 신개념 '통섭'

부경(扶熲) 김기선 2007. 3. 28. 08:42

지식대통합의 신개념 '통섭'

<1> 개요
학문과 학문간, 학문과 현실간에 경계를 허무는 '통섭(統攝)'이 기업들 사이에서 新코드로 등장하고 있음


  * '통섭'이란 원효대사가 '모든 것을 다스린다'라는 뜻으로 사용한 말로,
    지식의 대통합을 의미하는 라틴어계통의 '컨설리언스'(Consilience)를
    우리말로 번역한 용어임

  * 2005년, 연세대 최재천 교수가 에드워드 윌슨의 저서 '컨설리언스'를 번역하면서
    세간에 널리 퍼짐

<2> 현황
경쟁력 향상의 핵심인 기술발전이 한계에 부딪히면서, 새로운 경쟁력인 상상력을 획득하는 접근방안으로 통섭(統攝)이 유용하기 때문임


  * 한국의 경우, 이화여대의 통섭원, 서울대의 범 학문 통합연구소 등이 최근에 설립되어
    통섭 개념의 활용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추진 중임

  * 미국도 ‘연구원 사회’(Society of Fellows)라는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현재 미술대학과 컴퓨터 공학, 프로그래밍과 경영까지 교육하는 등 변화가시작되고 있음

<3> 사례
새로운 아이디어 및 상상력의 원천이 되는 '통섭(統攝)'은 산업계의 다양한 분야에서 찾을 수 있음


  * 도마뱀의 생태연구와 로봇기술이 합쳐진 도마뱀 로봇이나 식물의 잎에서 발명된
    태양전지, 거미줄을 응용한 강철섬유 등이 자연 통섭의 예임

  * 방송·통신의 융합이나 휴대인터넷(와이브로), 인터넷TV(IPTV) 등 컨버전스를 통한
    신산업들도 포괄적인 면에서 통섭에 속함

<4> 시사점
지식의 양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현대사회에서 다양한 유형의 통섭(統攝)을 적절히 활용해 기업경쟁력 강화


  * 기업들은 개방형 R&D 시스템의 일안으로 통섭 연구단체와의 지속적인 교류와 제휴를 통해,
    새로운 발상의 제품 개발 및 신사업 개척에 활용

  * 인재교육 차원에서도 통섭 개념을 활용해 창의력 배양에 주력해야 함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한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자료다운로드-지식대통합, 통섭(한글파일,224kb)

<출처 : 현대경제연구원>



consilience.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