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숨은 자산(hidden asset)을 활용한 혁신과 성공

부경(扶熲) 김기선 2007. 12. 29. 14:08
숨은 자산(hidden asset)을 활용한 혁신과 성공 & 해외(오마하,얼바인,워싱톤DC,상하이등), 주제별(중국어,영어) 독서모임 안내


'아폴로 13'이라는 영화를 보면 우주 비행 도중 산소탱크가 폭발해 산소가 부족해진 위급한 상황이 벌어졌는데도 우주 비행사들은 지상관제소로 연락해 "휴스턴, 문제가 생겼다"라며 상황을 매우 과소포장하여 이야기하는 장면이 나온다.
사태수습을 위해 머리를 맞댄 지상의 과학자들은 속옷에서부터 껌, 도관테이프에 이르기까지 우주선 안에서 구할 수 있는 모든 물건을 모아보라고 지시한다. 그리고 이 하찮은 물건에서 해답을 찾아 우주비행사들은 목숨을 구하고 안전하게 귀환한다.

이 영화는 실화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 더 많은 관심을 얻었는데, 이 책에서 분석하고 있는 사례들도 이 영화에서처럼 이미 기업 내에 존재하는 '하찮은 물건들'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거나 이전보다 긴급한 상황에서 접근함으로써 좀 더 안전하게 성장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하찮게 여겨지던 것이 '효자' 노릇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집안 살림에서나 재테크, 사회생활에서 그런 경우를 가끔 볼 수 있습니다.

'핵심에 집중하라'와 '핵심을 확장하라'라는 책을 쓴 경영전략 컨설턴트인 저자는 이를 기업의 성장에 적용시켜보았습니다. 성공적인 변화를 만들어낸 기업들의 대부분 지금까지 과소평가되거나 간과되었던 '숨은 자산'(hidden asset)을 통해 사업에 활력을 다시 불어넣었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입니다.
그는 이 숨은 자산이 기업의 영속적인 성장을 달성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열쇠라고 말합니다.

숨은 자산이란 기업이 이미 소유하고 있는 자산이지만 지금까지 그 가치를 충분히 인정받지 못했던 것을 의미합니다. 그는 기업의 구조가 복잡하고 규모가 크고 역사가 오래됐을 수록 숨은 자산이 많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합니다.
숨은 자산이라는 '금맥'을 캐낸 대표적인 사례는 바로 애플입니다. 애플은 기존의 컴퓨터 사업에서 갖고 있었던 디자인과 소프트웨어 기술을 기반으로 자신의 핵심 사업을 음악 사업으로 재정의했다고 저자는 말합니다. 애플은 이를 통해 온라인 음악 소프트웨어 부문의 역량을 확보했고 디지털 음원 저작권을 관리하는 역량을 새롭게 확보했다는 겁니다.

마블 엔터테인먼트의 사례도 흥미롭습니다. 1996년 이 회사는 파산 상태였습니다. 많은 코믹 서적을 보유하고 있었지만 소용이 없었습니다. 이 기업은 이때 '숨은 자산'을 찾아냈습니다. 회사의 재기를 위해 중요한 자산은 기존의 코믹서적 프랜차이즈가 아니라, 코믹서적 독자들에게 향수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5000개가 넘는 유명 캐릭터들이었던 겁니다.
마블 엔터테인먼트는 이에따라 영화 제작사와 손을 잡고 자신이 보유하고 있던 유명 캐릭터들을 영화 주인공으로 내세우기 시작했습니다. 스파이더맨, 인크레더블 헐크... 2005년 이 기업은 매출 3억9000만 달러 중 절반을 새로운 사업인 영화 및 캐릭터 상품 관련 라이센스로 만들어냈습니다.

애플과 마블 엔터테인먼트, 그리고 영화 '아폴로 13'...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 또는 개인의 성공을 위해서, 이 '숨은 자산'(hidden asset)을 찾아내고 이를 활용한 혁신을 통해 한계나 위기를 극복하겠다는 마인드가 중요한 시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