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관리(디자인)

신제품 성공여부는 '디지털 아줌마' 손에…

부경(扶熲) 김기선 2006. 12. 7. 17:38
신제품 성공여부는 '디지털 아줌마' 손에…

제품 경험 많은 20∼30대 여성 주류
점차 DIYㆍ공공ㆍ오프라인으로 확대
프로슈머와 기업 상호 '윈윈' 필요


전문가에 비해 뒤지지 않는 상품지식과 제품경험을 가진 프로슈머들은 제품 기획 단계에서 정보를 제공해 신제품의 성공확률을 높여주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LG전자는 지난해 11월 상품 기획단계부터 소비자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기 위해 휴대전화 업계에서는 이례적으로 프로슈머 제도를 도입, 대학생 50명으로 `싸이언 프로슈머' 그룹을 구성했습니다. 이들은 휴대전화의 복잡한 기능을 없애고 디자인을 심플하게 만들 것을 제안, 국내외 판매량이 600만대에 이를 정도로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는 `초코릿폰'이 탄생했습니다. 이들 프로슈머그룹은 초콜릿폰에만 무려 8000여건의 아이디어를 제안했다고 합니다.

진로 참이슬의 아성을 위협할 정도의 저도주 유행을 이끌고 있는 두산의 처음처럼도 프로슈머 마케팅의 대표적 성공사례로 꼽힙니다. 수개월에 걸친 시장조사 등을 통해 프로슈머 그룹이 제품 컨셉트는 물론 도수, 네이밍 작업에 이르기까지 깊숙이 참여했습니다.

KTH의 인터넷 포털 파란은 프로슈머의 전략적 활용을 위해 오는 27일까지 대학생 프로슈머 그룹인 `퓨리에이터' 4기를 모집합니다. 이들은 파란의 서비스 전략 및 신규 서비스 기획 아이디어 제안, 신규 서비스 베타 테스트, FGI 등 다양한 온ㆍ오프라인 활동에 참여하게 됩니다.

프로슈머란 생산자인 프로듀서(Producer)와 소비자인 컨슈머(Consumer)의 합성어로 앨빈 토플러가 제3의 물결(1980)을 통해 처음 제시한 용어입니다. 타인 또는 기업이 제작 생산한 제품 및 콘텐츠를 직접 사용하기도 하고 스스로 콘텐츠를 제작하기도 하는 소비자들을 통칭합니다.

특히 디지털제품 경험이 많은 20~30대 여성들의 참여율이 높은데 이들은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디지털 소비자, 정보생산자, 정보공유자의 역할을 담당함으로서 `디지털 아줌마'로 불리기도 합니다. 앞으로 프로슈머의 활동영역은 점차 정보공유형에서 DIY형으로, 상업성에서 공공성으로, 온라인에서 오프라인으로 확대 융합해 나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에 발표된 `부의 미래'에서 토플러는 향후 프로슈머들이 기업의 직접 경쟁자로서의 등장할 수 있음을 언급해 프로슈머에 대한 관심이 더욱 집중되고 있습니다.

프로슈머들은 시장경제에서 정보제공자를 벗어나 생산주체로서 진화하고 있지만 기업들은 제품 개발의 보조자로서만 대응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프로슈머 마케팅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를테면 영화음반 등 일부 상업용 제품들이 P2P 사이트에서 프로슈머들에 의해 무료로 유통되는 등 기존 산업의 탈시장화가 이뤄지는가 하면, 집, 식품 등 전통적인 재화에서부터 다이어트, 아토피 등과 같은 질병에 이르기까지 프로슈머들에 의한 새로운 시장이 탄생하고 있다. 즉 탈시장화와 시장화가 동시에 이뤄지고 있는 셈입니다.

오픈소스 프로그램인 리눅스(LINUX)는 무료로 일반인에게 제공되면서 기존시스템의 수요를 감소시킨 탈 시장화 사례에 해당합니다.

디지털 카메라, 합성기술 등의 다양한 콘텐츠 개발 도구들은 프로슈머들의 시장경제 진입을 더욱 가속화시키고 있습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프로슈머 마케팅의 현재와 미래' 보고서를 통해 기업들은 완성품에 집중한 나머지 시장경제로부터 부품이나 자본재를 구입하는 DIY형 프로슈머들을 간과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실제 주택과 가구 등 DIY형 활동에 필요한 부품들을 판매하는 유통형태인 B&Q가 경기도 구리시에 국내 처음 개설되기도 했습니다.

보고서는 또한 기업의 자원으로서 프로슈머의 활용범위를 기존의 제품개발 부분에서 생산, 유통까지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결국 프로슈머와 기업이 상호 윈윈하는 상생마케팅을 해야 하는데, 프로슈머에게는 자신들이 스스로 개발한 제품을 시장에 출시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해 준다는 점에서, 기업에게는 잠재적 경쟁자의 제거와 자사의 마케팅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상호 긍정적이라는 분석입니다.

'지식관리(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자인경영이란?(펌)  (0) 2006.12.07
디자인마케팅이란?  (0) 2006.12.07
삼성과 LG의 브랜드 전략  (0) 2006.09.30
B&O의 디자인경영전략  (0) 2006.09.30
'파리 모터쇼' 28일 개막  (0) 2006.09.30